반응형
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트는 AWS Educate 계정에서 사용가능한 리전 "버지니아 리전" 에서 운영중이던 블로그를

AWS 일반 계정의 한국 리전으로 옮기고, 도메인을 elbpdpdp.tk 에서 hakmoon.com으로 변경했던 작업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.

 

※ 작업 전 확인한점!!

 

- 1.  버지니아 리전에서 사용중인 서비스 목록 확인!!

 

> 저의 경우에는 블로그내에 이미지나 동적(jsp) , 정적(html) 파일들이 크게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아, S3를 사용하고 있지 않았습니다.

 

> freenom에서 무료 도메인을 발급받아 , AWS DNS 를 사용중이였습니다. 이는 Route 53의 DNS 관리 기능중 

"별칭" 레코드 사용으로 LB로의 도메인 A 레코드 연결을 위함이였습니다.

 

"별칭" 레코드 기능을 사용하면 AWS VPC 엔드 포인트 ,  S3 API 등 AWS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 가능합니다.
 참고 :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oute53/latest/DeveloperGuide/resource-record-sets-choosing-alias-non-alias.html

 

 

> EC2 인스턴스 유형은 t2.micro로 프리티어 사용중이며, Volume은  유형 gp3 20GiB 사용중입니다.

AMI 나, 스냅샷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. 

 

보안그룹은 SSH, HTTP/HTTPS , MySQL, Node 포트만 사용중

 

LB 는 ALB 사용중, 리스너 http 80 -> 리다이렉트 443 , https 443 , Target Group -> 인스턴스 WEB1 http(80) port 

> VPC 설정은 서브넷

  DB-priv-2a 리전용 DB-priv-2c 리전용

  WEB-pub-2a 리전용, WEB-pub-2c 리전용

 

  라우팅

  인터넷 게이트웨이만 사용중.

 

VPC

 

 

> RDS 는 db.t2.micro 클래스 사용중, 파라미터 그룹

 


- 2. 사용할 방법

 

1) EC2 인스턴스 WEB-master 에 접속하여, RDS DB 를 백업한다.

 

2) EC2 인스턴스 내부의 CONFIG 를 수동(사실상 노가다) 백업한다.

 

3) 1,2번 바탕으로 새로운 인프라에 복원

 

4) RDS mysqldump 덤프파일 바탕으로 복구

 

5) RDS 내부 Wordpress 테이블 수정 ( 도메인 이전이기 때문에 )


 

-3. 의문을 가질 만한 사항들

 

Q. EC2 인스턴스 이미지(AMI) 생성을 한 후, 다른 AWS 계정으로 AMI 공유하면 되지 않나요?

 

A. 맞습니다. KMS 키 공유 및 IAM 정책을 통해 AMI 공유를 하면, 바로 AMI 기반으로 EC2 생성이 가능하여, EC2 세팅이 완료가 됩니다. 다만, 비용이 발생하여 진행하지 않았습니다.
참고 문서입니다. :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sharingamis-explicit.html

 

Q. RDS 인스턴스 또한 수동 스냅샷 생성 후, 다른 AWS 계정으로 RDS 스냅샷 공유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될까요?

 

A. 맞습니다. 이 또한 위와 같이, KMS 키 공유 및 IAM 정책을 통해 RDS 스냅샷(수동 생성만 가능!!!) 공유를 하면, 바로 AMI 기반으로 EC2 생성이 가능하여, EC2 세팅이 완료가 됩니다. 다만, 비용이 발생하여 진행하지 않았습니다.
참고 문서입니다. : https://aws.amazon.com/ko/premiumsupport/knowledge-center/rds-snapshots-share-account/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